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

뇌파 기반 인터페이스(BCI)는 말 못하는 아이의 언어가 될 수 있을까? 뇌파 기반 인터페이스가 무엇인지, 그것이 말 못하는 아이의 대체재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BCI란 무엇인가: 생각을 기술로 읽는 시대의 도래  BCI *Brain-Computer Interface, 한국어로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또는 뇌파 기반 인터페이스라 불리는 이 기술은, 인간의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해석해 기계나 디지털 시스템과 연결하는 기술입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생각만으로 컴퓨터를 조작하거나 명령을 내리는 기술’입니다. 이 개념은 과학소설이나 영화에서 자주 등장하던 이야기였지만, 이미 현실의 과학기술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BCI 기술의 핵심은 뇌파 *EEG, Electroencephalogram 신호의 측정과 해석입니다. 우리 뇌는 생각하거나 감정.. 2025. 4. 4.
시각장애인을 위한 텍스트 음성변환(TTS)의 진화와 학습 응용 사례 시각장애인을 위한 텍스트 음성변환 TTS 기술의 진화와 학습 응용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TTS 기술의 진화: 기계음에서 자연음성으로의 여정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보 접근의 핵심 기술 중 하나는 단연 텍스트 음성변환, 즉 TTS * Text-to-Speech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문자로 된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해 전달함으로써, 시각적 제약이 있는 사용자에게 듣는 방식의 정보 접근 통로를 제공해줍니다. 특히 학습 환경에서는 교과서, 참고자료, 과제 안내 등 대부분의 정보가 텍스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TTS는 시각장애 학습자에게 사실상 '학습의 눈'이 되어주는 도구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하지만 TTS 기술의 시작은 지금처럼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음성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1980~9.. 2025. 4. 4.
AI는 어떻게 장애 학생의 '학습 장벽'을 낮추고 있는가? AI와 함께 살아가고 있는 지금, AI는 과연 어떻게 장애 학생의 학습 장벽을 낮추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1. 맞춤형 학습: AI가 만드는 개인화된 학습 환경의 혁신  장애 학생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똑같이 배우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맞는 방식으로 배우는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접하는 교육 현장은 대부분 모든 학생에게 동일한 방식과 속도로 지식을 전달합니다. 이는 특히 감각적 제약이나 인지적 특성이 있는 장애 학생들에게 큰 장벽으로 작용하죠. 바로 이 지점을 기술이, 그중에서도 인공지능(AI)이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AI 기반 맞춤형 학습 도구는 단순한 보조 수단이 아니라, 장애 학생이 ‘어떻게 배우는가’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핵심 도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AI는 학습.. 2025. 4. 4.
2025 청년도전지원사업 ​2025년 청년도전지원사업은 구직을 단념한 청년들의 경제활동 참여와 노동시장 복귀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이 사업은 자신감 회복, 구직의욕 제고 등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프로그램 이수 시 참여 수당과 인센티브를 지급합니다. - 신청 기간: 2025년 1월 1일부터 2월 14일까지입니다.​ - 신청 자격:최근 6개월간 취업, 교육, 직업훈련 참여 이력이 없는 만 18~34세 청년자립준비청년, 청소년 쉼터 등 입·퇴소 청년, 북한이탈 청년 등 기타 지원 필요성이 인정되는 만 39세 이하 청년 - 지원 내용:도전 프로그램: 최소 4주(40시간) 이상의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이수 시 1인당 50만 원을 지급합니다.​도전+ 프로그램: 중기(15주 이상)와 장기(25주 이상) 과정이 있으며, 참여.. 2025. 3. 26.